-
SQL 이해Flower in my dev/SQL 2015. 1. 7. 22:23
SQL이란?Structured Query Language...사전적인 의미는 어려우니까 넘어가고뭐든지 언어는 의사소통을 위한 것이다.그럼 SQL은 누구와 의사소통을 하려고 하는 것인지 알면 끝!!!!데이터베이스님이시다!오라클이 큰 엉덩이로 비비고 앉아있는 영역..;; 그럼 데이터베이스란?데이터를 정리해서 저장하는 저장공간이다.여기서 데이터를 정리한다는 것은정해놓은 틀에 맞게 구분하는 것이다. 데이터베이스는 테이블이 존재한다.그럼 데이블이란?데이터베이스에 정리되어 저장되는 데이터의 목록이다.이런 테이블은 구조와 속성이 존재하고 이것을 스키마라고 한다.스키마는 테이블의 레시피같은 존재(?)라고 할 수 있다.그리고 테이블은 칼럼으로 구성되고칼럼에는 데이터가 입실(?)한다.칼럼은 데이터타입으로 입구를 정해 놓는..
-
리눅스 기본 명령어 정리_01Flower in my ops/Linux 2015. 1. 6. 15:27
1. pwd : 현재 디렉토리 확인 2. cd /etc : /etc 디렉토리로 이동 3. cd .. : 부모 디렉토리로 이동 4. cd / : 루트 디렉토리로 이동 5. cd : 홈 디렉토리로 이동 6. ls : 디렉토리 내부 컨텐츠 표시 [나열형] 7. ls -l : 디렉토리 내부 컨텐츠 표시 [목록형] 8. ls -al : 디렉토리 내부 컨텐츠 "전부" 표시 9. ll : ls -l과 같음 10. mkdir ~/testdir : 홈 디렉토리에 testdir 디렉토리 생성 11. mkdir -p ~/dirA/dirB/dirC : 홈 디렉토리에 dirA를 생성하고 dirA 안에 dirB를 생성하고 dirB 안에 dirC를 생성 12. rmdir ~/testdir : 홈 디렉토리에 testdir 디렉토리 ..
-
Areca RAIDFlower in my ops/Storage&Backup 2015. 1. 6. 09:29
하드웨어 RAID의 대표(?) 회사로는 LSI와 Areca가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. LSI는 친근하니 다음에 이야기하고 Areca RAID 간단 구성 방법 올립니다. 먼저 Areca 콘솔 접속 화면 입니다. 익숙한 화면인데... 한 번이라도 OS를 설치해보셨다면... 번지 당하기 전에 눌러주시면 끝!!!! 친절하게 Quick Volume/Raid Setup이 있습니다. 메뉴만 따라가면 끝입니다~~ 따라가봅시다~~ RAID 5가 구성되었습니다~~ 짜잔~~ 어려운게 하~~~~나도 없습니다~~ initialize 하는 부분이 있는데 저는 보여드리기 위해 Foreground를 선택하였습니다. 0.9% Completed 된 것 확인하시면 얼마나 기다려야될지 감이 오실거라 생각합니다. 선택은 자유입니다. 저것 때..
-
-
-
-
-