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서버 용량 확인 [df, du]Flower in my ops/Linux 2015. 4. 30. 10:41
df : 디스크의 남은 용량을 확인 df -k : 킬로바이트 단위로 현재 남은 용량을 확인 df -m : 메가바이트 단위로 남은 용량을 왁인 df -h : 보기 좋게 보여줌 df . : 현재 디렉토리가 포함된 파티션의 남은 용량을 확인 -a, --all 파일 시스템의 크기가 0인 것도 모두 보여준다. 초기값은 제외 시킨다. 이런 파일 시스템은 전형적으로 자동 마운트관련, 특별 구성, pseudo-filesystems이다. 어떤 시 스템에서는 ‘‘ignore’’, 또는 ‘‘auto’’ 형태의 파일 시스템이 초기값으로 생략되는 경우가 있다. 이때 이옵션을 사용한다. -i, --inodes 블럭 사용 정보 대신에 inode 사용정보를 보여준다. inode란 특별한 종류의 디스크 블럭인데, 이것은 파일이름, 소..
-
crontab 리눅스 스케줄링Flower in my ops/Linux 2015. 4. 27. 14:06
rontab 은 윈도우의 스케줄러와 같은 역할을 하는 명령어입니다. CRONtab crontab -l -> 현재 crontab에 등록된 작업보기 crontab -e -> crontab 편집하기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CRONtab /etc/cron, /usr/spool/cron/crontabs/* “/etc/cron" 프로그램 은 주기적으로 어떤 프로그램을 수행시키는데 사용된다. 이때 주기적으로 수행되어질 프로그램은 "/usr/spool/cron/crontabs" 디렉토리 밑에 각 사용자의 사용자명과 같은 이름으로 생성된다. 이 화일은 만드는 방법은 아래 명령을 사용하면 된다...
-
네트워크 설정Flower in my ops/Linux 2015. 4. 9. 15:36
1) /etc/sysconfig/network-scripts/ifcfg-eth0 IP, 서브넷 마스크,(게이트웨이) DEVICE=eth0 HWADDR=F4:6D:04:39:F7:57 NM_CONTROLLED=yes ONBOOT=yes IPADDR=192.168.0.100 NETMASK=255.255.255.0 GATEWAY=192.168.0.1 TYPE=Ethernet BOOTPROTO=none IPV6INIT=no USERCTL=no 2) /etc/sysconfig/network 컴퓨터이름,(게이트웨이) NETWORKING=yes HOSTNAME=flower DOMAINNAME=flower.co.kr 3) /etc/resolv.conf DNS 정보 nameserver 163.128.63.1 4) /et..
-
파일전송 scp, rsyncFlower in my ops/Linux 2015. 4. 7. 17:31
*scp 파일 보내기 scp test.txt flower@192.168.0.100.80:/home/flower 파일 가져오기 scp -r flower@192.168.0.100.80:/home/flower/test.txt /var/www/ *rsync 파일 보내기 rsync -avz test/ root@192.168.0.101:/home/ 파일 가져오기 rsync -avzh root@192.168.0.100:/home/tarunika/rpmpkgs /tmp/myrpms 파일과 경로는 자리만 바꿔주면 되고 옵션만 잘 써주면 문제없이 잘됨.
-
리눅스 기본 명령어 정리_01Flower in my ops/Linux 2015. 1. 6. 15:27
1. pwd : 현재 디렉토리 확인 2. cd /etc : /etc 디렉토리로 이동 3. cd .. : 부모 디렉토리로 이동 4. cd / : 루트 디렉토리로 이동 5. cd : 홈 디렉토리로 이동 6. ls : 디렉토리 내부 컨텐츠 표시 [나열형] 7. ls -l : 디렉토리 내부 컨텐츠 표시 [목록형] 8. ls -al : 디렉토리 내부 컨텐츠 "전부" 표시 9. ll : ls -l과 같음 10. mkdir ~/testdir : 홈 디렉토리에 testdir 디렉토리 생성 11. mkdir -p ~/dirA/dirB/dirC : 홈 디렉토리에 dirA를 생성하고 dirA 안에 dirB를 생성하고 dirB 안에 dirC를 생성 12. rmdir ~/testdir : 홈 디렉토리에 testdir 디렉토리 ..
-
Areca RAIDFlower in my ops/Storage&Backup 2015. 1. 6. 09:29
하드웨어 RAID의 대표(?) 회사로는 LSI와 Areca가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. LSI는 친근하니 다음에 이야기하고 Areca RAID 간단 구성 방법 올립니다. 먼저 Areca 콘솔 접속 화면 입니다. 익숙한 화면인데... 한 번이라도 OS를 설치해보셨다면... 번지 당하기 전에 눌러주시면 끝!!!! 친절하게 Quick Volume/Raid Setup이 있습니다. 메뉴만 따라가면 끝입니다~~ 따라가봅시다~~ RAID 5가 구성되었습니다~~ 짜잔~~ 어려운게 하~~~~나도 없습니다~~ initialize 하는 부분이 있는데 저는 보여드리기 위해 Foreground를 선택하였습니다. 0.9% Completed 된 것 확인하시면 얼마나 기다려야될지 감이 오실거라 생각합니다. 선택은 자유입니다. 저것 때..
-
FC (Fibre Channel)Flower in my ops/Storage&Backup 2015. 1. 2. 14:36
FC는 SAN(Storage Area Network)에 사용되는 표준화 채널로서 FWU(Fast Wide Ultra) SCSI의 뒤를 이을 차세대 고속 인터페이스다. 1992년에 휼렛패커드와 선마이크로시스템스·IBM 등 3개 업체가 FCSI(Fibre Channel Systems Initiative)를 구성했고, IP와 SCSI의 공조에 관심을 두고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여 1998년에 표준안이 마련되었다. 2003년 현재 FCA(Fibre Channel Association)와 FCLC (Fibre Channel Loop Community)에서 관리한다. FWU SCSI보다 4∼5배 빠른 1Gbps의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가 있으며, 사용되는 프로토콜이 SCSI와 호환되어 기존의 장치를 그대로 사용할..